안녕하세요 고모란이에요~
오늘은 예의 없는 사람들에 관한 이야기를 해야겠어요.
얼마 전 정부에서 환경보호 차원에서 일회용 컵의 보증금 제도를 시행하겠다 발표했고
본격 시행인 12월 2일 전까지 유예기간 을 둔 상태인데요.
일회용컵 보증금 제도는 커피전문점 등에서 음료를 주문할 때, 일회용 컵에 자원순환 보증금으로
300원을 부과하고,
고객이 사용한 컵을 반납하면 보증금을 돌려받는 제도입니다.
저도 개인컵을 늘 가지고 다니기 때문에 자주 이용하기도 하고요~
그런데요, 카운터에 텀블러를 줄 때
깨끗이 비워진 상태로 주고 음료를 받아야 맞지 않을까요?
카페에 올 목적으로 집이나 회사 등지에서 출발했다면 청소를 해서 가져와야 할 것이고,
이미 음료를 담고 외출 중에 다른 음료가 마시고 싶어 갑자기 카페에 들르게 되었다면
텀블러 안에 아직 내용물이 남아있는지 상태를 확인하고 음료가 남아있다면
1) 상점 밖에서 음료를 미리 비우던가
2) 일회용 컵에 달라고 하는 것이
일반적인 태도라고 생각이 드는데요.
그런데 최근 프랜차이즈 카페에서 한 고객이,
할인을 받기 위해 씻지 않은 텀블러를 가져와서 직원에게 당당히
'닦아달라' 고 요구한 내용이 공유되면서 많은 이들의 공분을 사고 있습니다.
이 내용은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카페에서 텀블러 가져올 때 왜 안 씻으세요'라는 제목의 글로
공유가 되었는데요.
작성자인 A 씨가 운영 중인 카페에서는 환경보호를 위해 개인컵을 가져온 손님에게 음료값 100원을
할인해 주고 있었다고 해요.
A 씨의 말에 의하면 "텀블러를 가져오는 대부분의 손님이 전에 있던 내용물을 안 버리고 씻지 않은 채
가져온다'면서
'오늘도 어떤 손님이 안에 헹구고 커피를 담아달라 해서 열어봤더니,
얼마나 오래됐는지 알 수 없을 정도로 부패한 정체불명의 액체가 있었다'라고 전했습니다.
A 씨가 헹군 후 음료를 담아 건네자 손님은 "안에 요구르트가 있었는데 잘 닦은 거 맞느냐"라고 재차
확인까지 했고 A 씨는 '그렇게 걱정되면 집에서 좀 씻어 오지'라는 생각을 할 수밖에 없었다고
하소연했다고 합니다.
아휴 손님에게 무어라 할 수도 없고 고충이 이만저만이 아닐 것 같아요.
해당 글을 접한 누리꾼들은 "저런 사람들 진짜 많다",
"안 씻은 텀블러는 할인해줄 것이 아니라 설거지 인건비를 받아야 한다",
"손님이 밀려있는 상황인데 텀블러 열어보면 세척해야 하고 할인까지 해달라고 하면 진짜 화난다"
등의 반응이 이어졌다고 합니다.
문제는 이런 손님들이 정말 많다고 하니 커피전문점에서 일하는 직원분들이 너무 힘들 것
같습니다. 위 댓글 반응처럼 제 생각에도 손님이 가져온 개인컵을 설거지까지 해서 음료를 담아야 한다면,
그런 손님에게는 할인이 아니라 오히려 '봉사료'를 더 받아야 할 것 같습니다.
12월 2일 본격 시행되면 이런 사례들이 더욱 늘어날 것 같아 걱정인데요,
씻지 않은 개인컵을 가져올 경우는 일회용 컵에 줄 수 있도록 정부에서 세부지침을 만들어
"텀블러 가져왔는데 왜 일회용 컵에 주느냐, 보증금 안 내겠다"와 같은 진상 손님이 발생하지 않도록
미리 준비해 주면 좋겠어요. 커피전문점 개별 판단에 맡기지 말고요~~
환경보호라는 좋은 취지에서 시작한 정책이,
일부 예의 없는 사람들로 인해 커피전문점 입장에서 골칫거리 정책이 된다면 너무 슬프잖아요~~
모두에게 편리하고 유익한 정책이 될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해요^^
이상으로 오늘 포스팅 마칠게요.
오늘의 결론,
소비자는 텀블러를 잘 씻어서 가져가고,
텀블러가 있더라도 다른 내용물이 들어있다면 그냥 300원 내고 일회용 컵에 받으세요!!
오늘도 건강하세요.
"'커피 담아달라' 손님이 건넨 텀블러에 정체불명의 액체가…"
프렌차이즈 카페를 운영 중인 A 씨는 최근 씻지 않은 텀블러를 가져온 손님으로 인해 곤란함을 겪었다. A 씨가 운영 중인 카페에서는 환경 보호를 위해 텀블러를 가져온 손님에게 음료값 100원을
n.news.naver.com
'세상소식, 시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복절을 앞두고/캘리포니아에서 전해온 의미있는 소식 ; 5·18민주화운동 기념일 지정 (25) | 2022.08.11 |
---|---|
사람은 휴가, 반려동물은 생이별/이색 반려동물도 예외 아냐/거북이 생태계교란종 지정 '오명' 사람이 원인 (13) | 2022.07.23 |
[몽산포 갯벌 생태 휴식제 시행 ]/ 1년간 휴식/ 갯벌의 가치 (21) | 2022.07.08 |
2023년 최저임금, 460원(5%)인상 결정/경영자.근로자 모두의 시름.. (17) | 2022.06.30 |
CJ, 썩어서 생분해되는 친환경 플라스틱 소재 'PHA' 공인기관 인정 (12) | 2022.06.29 |